반응형
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및 복지 혜택 기준 총정리
– 내가 복지 대상자일까? 혜택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
– 차상위/기초수급자 기준도 쉽게 확인해요!
🗂 목차
- 기준 중위소득이란?
-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(가구원 수별 정리)
- 중위소득 50%, 60%, 100%, 120% 기준
- 중위소득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
- 내가 대상인지 확인하는 방법
- 자주 묻는 질문 (FAQ)
🧾 1. 기준 중위소득이란?
국민의 소득 분포에서 중간값에 해당하는 소득을 기준으로
복지 대상자를 나누는 ‘기준점’이에요.
👉 대부분의 정부지원금, 복지 서비스, 공공임대주택, 장학금 등
→ “중위소득 몇 퍼센트 이하” 기준으로 대상자 선정
즉, 중위소득 기준을 알면
✔️ 내가 복지 대상인지
✔️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
→ 한눈에 파악 가능해요!
📊 2.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단위: 월 소득 (원)
가구원 수 중위소득 100% 50% 이하 60% 이하 120% 이하
1인 | 2,243,000 | 1,121,500 | 1,345,800 | 2,691,600 |
2인 | 3,734,000 | 1,867,000 | 2,240,400 | 4,480,800 |
3인 | 4,813,000 | 2,406,500 | 2,887,800 | 5,775,600 |
4인 | 5,892,000 | 2,946,000 | 3,535,200 | 7,070,400 |
5인 | 6,971,000 | 3,485,500 | 4,182,600 | 8,365,200 |
✅ 참고: 보건복지부 발표 기준 (2025년 1월 적용)
✅ 보통 ‘소득인정액’ 기준으로 판단 → 단순 월급이 아닌 건강보험료+재산 포함
🧾 3. 중위소득 퍼센트별 의미
구간 의미 관련 혜택 예시
50% 이하 | 기초생활수급자 | 생계급여, 의료급여 등 |
60% 이하 | 차상위계층 | 에너지바우처, 교육비 지원 등 |
100% 이하 | 저소득층 | 공공임대, 바우처 등 |
120% 이하 | 일반 복지 대상 | 주거급여, 전세자금대출 등 |
🎁 4. 중위소득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
- 생계급여: 중위소득 30% 이하
- 의료급여: 40% 이하
- 교육급여/주거급여: 50~60% 이하
- 차상위계층 혜택: 중위소득 60% 이하
- 청년 월세지원: 중위소득 100% 이하
- 햇살론 유스: 중위소득 120% 이하
- 긴급복지지원: 갑작스런 실직/사고 시 중위소득 75~100% 이하
👉 해당되는 퍼센트 안에 들면, 관련 복지 신청 가능!
🧪 5. 내가 대상자인지 확인하는 방법
① 복지로 사이트
- '모의 계산기' 클릭
- 가족 수, 소득, 재산 정보 입력
- 중위소득 퍼센트 및 수급 가능 혜택 자동 계산
② ‘The건강보험’ 앱
-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판정
- 소득 하위 여부 판단에 유용
❓ 6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중위소득은 세전인가요? 세후인가요?
A. 기준은 소득인정액으로, 실제 소득 + 건강보험료 + 재산을 종합적으로 계산합니다.
Q. 직장인이어도 혜택 받을 수 있나요?
A. 네! 소득기준만 충족하면 무관합니다.
Q. 가구원 수는 주민등록 기준인가요?
A. 보통은 주민등록 기준이나, 실제 생계 여부도 함께 판단해요.
Q. 맞벌이는 소득 두 명 다 포함되나요?
A. 네, 모든 가구 구성원의 소득을 합산해서 판단합니다.
반응형
'정부지원 및 복지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, 뭐가 다를까? 차이점 총정리! 🔍 (0) | 2025.04.15 |
---|---|
2025 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 및 조건 총정리 (2) | 2025.04.15 |
2025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& 자격조건 총정리 (5월 정기신청 전 필수 확인!) (0) | 2025.04.14 |
😲 "몰랐던 내 돈 찾기"3분이면 끝!숨은 정부지원금 총정리 (2025 ver.) (0) | 2025.04.13 |
국민연금 내 예상 수령액, 5분 안에 확인하는 방법 (2025년 최신) (0) | 2025.04.13 |